“제품 포장도 친환경으로”
제품 포장백 폐플라스틱 재활용 소재로 교체
 
롯데케미칼, 국내 업계 최초 PCR-PE 제품 포장백 개발 및 제품 출하 시 적용
고객사와의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포장재 사용 확대 추진
2021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 2분기 매출액 4조 3,520억 원, 영업이익 5,940억 원
 
158a26f9a939493afcee397b0ad82d4b_이슈1_메인.jpg
<롯데케미칼 PCR-PE소재 제품 포장백>
 
롯데케미칼이 국내 업계 최초로 PCR-PE(재생 폴리에틸렌) 포장백을 자체 개발하여 지난 7월부터 자사 제품을 포장, 출고했다고  밝혔다.
포장백의 원료인 PCR-PE는 고객사로부터 수거한 롯데케미칼의 PE(폴리에틸렌) 소재 폐포장백으로 제조된다. 회수 후 재사용이 가능한 재생 플라스틱 원료로 만들어 포장백 제작 시 투입되며, 해당 포장백은 약 30%의 PCR-PE를 함유하고 있다. 일반 PE백과 유사한 수준의 물성을 구현해낸 것이 특징이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2021년 2분기 잠정실적(연결기준)으로 매출액 4조 3,520억 원, 영업이익 5,940억 원을 기록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3%, 영업이익은 170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상현 기자 press@iunews.co.kr
 
연간 300톤 플라스틱 사용량 절감 및 
재사용으로 자원 선순환 기여
 
기존의 PE백은 합성수지 제품의 포장재로 널리 활용되나, 폐기 후 낮은 품질의 원료로 재활용되거나 일반쓰레기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롯데케미칼은 2021년부터 재생 플라스틱 포장백 적용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했으며, 고객사의 협조를 받아 폐포장백을 회수 후 PCR-PE백용 원료를 생산하는 플라스틱 선순환 체계를 구축했다.
롯데케미칼은 여수공장에서 생산되는 월 3,000톤 상당의 내수용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제품 출하 시 PCR-PE 포장백을 시범적으로 적용 중이며, 올해 말까지 PE, PP 등 제품 월 15,000톤 상당의 물량으로 적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PCR-PE 포장백에 투입되는 재생 플라스틱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황진구 대표는 "PCR-PE 포장백 도입으로 연간 300톤 이상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롯데케미칼은 생산, 판매 및 재활용까지 전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플라스틱 선순환 구축에 앞장서겠다"이라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9월 국내 최초로 화장품 및 식품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PCR-PP(재생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개발하여 고객사에 공급 중에 있으며, 올해 2월 친환경 사업전략 『Green Promise 2030』을 발표하여 폐플라스틱 재활용 제품 판매량을 100만 톤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국내외 고객사의 재생소재 사용 증가 및 각종 환경규제 등에 대응하여 앞으로도 PCR(Post Consumer Recycled) 소재 개발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2021년 상반기 매출액 8조 5,203억 원
3년 만에 반기 영업이익 1조원대 달성
 
<주요사업 투자계획>
158a26f9a939493afcee397b0ad82d4b_이슈1_사진1.jpg

 
한편 롯데케미칼은 2021년 2분기 잠정실적(연결기준)으로 매출액 4조 3,520억 원, 영업이익 5,940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3%, 영업이익은 1704.5% 증가했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상반기는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라 석유화학 제품 수요가 전체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며, "친환경·위생소재를 비롯한 고부가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및 높은 원가경쟁력을 바탕으로 2018년 상반기 이후 3년 만에 반기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과 주요 자회사의 2021년 2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다.
기초소재사업 내 올레핀 사업부문은 매출액 1조 8,977억 원, 영업이익 2,710억 원을 기록했다. 전방 산업의 회복세와 더불어 친환경·위생소재 등의 수요 증가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아로마틱 사업부문은 매출액 5,946억 원, 영업이익 522억 원으로, 식음료 용기 및 PIA(고순도 이소프탈산, Purified Isophthalic Acid) 제품 수요 강세로 수익성이 대폭 증가했다.
첨단소재사업은 매출액 1조 1,823억 원, 영업이익 1,260억 원을 기록했다. 전자·가전 등 전방 산업의 수요 증가 및 고부가 컴파운딩 제품 판매로 매출 및 수익성 모두 확대됐다.
롯데케미칼타이탄은 매출액 6,915억 원, 영업이익 1,199억 원을 기록했다. 일회용품 및 위생용품에 대한 높은 수요가 지속되는 한편, 동남아 지역 내 신·증설 부재에 따라 공급이 타이트한 상황이 유지되면서 매출 성장 및 견조한 수익성을 보였다.
LC USA는 매출액 1,269억 원, 영업이익 381억 원을 기록했다. 셰일가스 기반의 높은 원가경쟁력과 견조한 제품 수요를 바탕으로 30%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은 하반기 전망에 대해 "신증설 물량의 유입이 예상되나, 백신 접종 확대 및 자동차·건설을 비롯한 전방 산업의 수요 증가 등 글로벌 경기 회복세에 따라 제품 스프레드 하락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며,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올해 7월 발표한 '2030 수소 성장 로드맵'의 실행과 더불어 국내 최초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공장 신설, 배터리 전해액 유기용매 생산시설 투자 등 신사업을 본격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INDUSTRY 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